2023년 한국교회 생태정의 아카데미 3기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올해 아카데미 강좌는 "기후위기시대, 녹색의 눈으로 읽는 성서"를 주제로 생태정의와 성서를 깊이있게 공부합니다. 본 아카데미는 ‘한국교회 아카데미’ 플랫폼을 통해 강좌를 진행합니다. 강좌는 총 12강좌로 구성되며 차시 당 신구약 개론적 강의와 8회의 성서읽기 강좌가 진행됩니다. 각 강좌마다 질의응답과 심층토론이 진행됩니다. 현장참여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줌 온라인 강좌를 병행하고 유튜브 녹화영상은 아카데미 이후에 공유합니다. - 시간 2023년 4월 10일 첫 강좌 격주 월요일 오후 7~ 8시 30분 / 1시간 10분 강좌, 20분 질의응답 -장소 종로 5가 한국기독교회관 701호 / 현장과 줌, 유튜브 녹화 병행 -과정 이수 및 수료 총 강좌의 70%( 12강좌 중 8강좌) 이상을 이수하면 기독교환경운동연대, 성공회대학교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공동으로 인증하는 수료증을 발급합니다. -참여 및 교재비 본 아카데미는 강좌 당 1만원, 총 15만원의 교재비를 받고 강좌 관련 책자와 자료를 제공합니다. 학생 및 청년, 1, 2차 아카데미 참석자, 기환연 회원에게는 장학특전이 있습니다. 기초 강좌는 기환연 유튜브 1,2차 생태정의 아카데미 강좌를 통해 공부할 수 있습니다.
2023.02.24
신간도서를 소개합니다.『생태적 삶을 추구하는 영성』,- 사)한국교회환경연구소 엮음, 엘까미노(2025.2)오늘 우리는 인류 문명으로 인한 기후비상사태 한가운데를 관통하고 있다. 이제 그 긴 터널의 시작에 조금 더 들어와 있다. 이 사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벌어지고 있는 지구 생태계의 다양한 위기를 그 터널의 안쪽에서 긴 시간 감내해야 할지 모르겠다. 생각해 보면, 우리는 언제나 어떤 형태로든 위기의 터널을 늘 통과해 왔다. 그때마다 많은 터널이 우리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로 인해 생겨 난 것임을 깨닫고 후회하면서 말이다. 이 상황에서 절망이 아닌 은혜로 향하게 하는 영성이 그리워진다. 이 책에 담긴 이야기들은 생태위기와 마주해서 그러한 영성을 다시 되살리도록 하는지혜를 알려준다. 영성, 과학, 종교, 생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기후위기 상황 가운데서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생태영성을 성찰하며 대화를 나눴다. 강의는 프리젠테이션이나 강의록 없이 진행되었으며 책의 편집을 위해 녹취를 풀어 원고를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강의와 현장의 생생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가능한 입말을 그대로 실었다. 독자는 책을 읽으면서 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강의를 듣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과학적인 통계부터 자연친화적인 삶을 선택하여 살아가고 있는 이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으며 함께 웃고 눈물지으며 감동 받을 것이다. 이들의 삶의 이야기를 가만가만 들으며 우리가 직면한 기후위기 앞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은혜를 향한 절박하고 정의로운 생명력으로 인도하는 길잡이 들을 통해 한 줄기 빛을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차례책을 펴내며 _ 신익상생태위기와 토마스베리 우주론 _ 최광선환경과 과학: 기후위기와 우리의 삶 _ 최무영피조물의 고통과 가난의 영성 _ 김영락일상생활의 생태학, 세계와 다시 연결되기_ 유기쁨생태적 삶과 관상적 영성 _ 김홍일새로 보는 기후위기와 생태적 삶 _ 장석근생태적 영성과 프란치스코 _ 정광일하나는 복수입니다 _ 이쁜이저자 소개최광선: 생태영성을 전공한 구도자요, 예수공동체를 꿈꾸는 목사(덕신교회, 순천)요, 하나님의 정원을 돌보는 정원사이다.최무영: 서울대학교와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물질과 생명, 사회와 인문의 다양한 주제에 관해서 여러 연구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다. 퇴직하고 나서는 온전한 앎과 삶을 향한 통합적 사고와 교육에 관해 생각하고 있다.김영락: 2005년까지 기독교환경운동연대에서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이후 강원도 산지에 들어가 집 짓고 농사지으며 기도하며 살고 있다. ‘가난의 영성’에 관심을 가지고 가난하게 사는 삶을 실천하며, 그 가운데 주시는...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