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생태신학자들(10) - 독일 최초 환경 목사, 리드케 (G . Liedke ) 이 정 배 / 부설 (사)한국교회환경연구소장, 감신대 교수 늦은 감이 있지만 생태학(?kologie)을 문자적으로 풀이하자면 Oikos(집)라는 단어와 Logos(학문)의 복합어로서 '집에 관한 학문', 즉 '삶의 공간에 대한 학문'을 의미하고 있 다. 어떻게 모든 생명들이 삶의 터전으로서의 자연과 관계하면서 살아갈 수 있는가를 탐구 하는 학문이 바로 생태학이라는 것이다. 독일신학은 오래 전부터 이 문제와 씨름해 왔고 독 일 교회 내에 환경을 전담하는 목사를 두어 자신의 신학적 주제를 구체화시켜 나갔다. 바로 G. 리드케는 독일 최초의 환경 목사로서 신학과 자연과학을 두루 섭렵한 학자이자 환 경운동가이다. 그의 책 '고기의 뱃속에서'(Im Bauch des Fisches)는 1797년에 출판된 것 으로서 독일 신학계의 환경지표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 기독교인들은 기술문 명으로 빚어진 현금의 자연파괴의 실상을 고기의 뱃속에 갇혀있는 절망적인 요나의 모습 과 비유하고 있는데, 뱃속의 요나가 회개하였듯이 인간들도 사실적 종말의 위기 속에서 하 느님과 자연에 대한 메타노니아, 회심을 요청받고 있다고 말한다. 현실은 절망이지만 그래 도 인간의 회심 여하에 따라 희망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본 책은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요인 분석에 있어서 철저하다. 현대 인간은 주체에 대한 집 착을 통하여 자연 속에서 활동하는 인간, 동료, 환경 그리고 우주의 전 관련성을 상실해 버 리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신학 속에서도 흔적을 들어내는 바, 인간 삶을 자연이 아니 고 오로지 역사로서만 이해하였고, 하느님의 창조주됨의 논술을 인간 실존이해의 틀 속에 서만 이해하여 왔다는 지적이다. 다시 말해 오늘날의 생태학적 위기가 데카르트 식의 독아 론적 사유에 근간이 된 주객이원성의 도식하에서, 구속사적, 인간중심적 역사 이해의 빛에 서 자연에게 원초적 경험을 허용치 않았던 정통신학 사조로부터 연유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리드케는 베스터만의 창세기 주석서(1972)에 근거하여 성서를 새롭게 이해하는 데에 관심한다. 그에 의하면 창조란 인간 삶의 근거이며 그것 없이는 모든 것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이기에 창조 사건이 없다면 구원 사건 자체가 가능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 느님의 유일회적 구원행위보다 끊임없이 반복적이고 역동적인 축복행위를 전면에 부각시 킨다. 하느님은 자신의 피조물을 향해 끊임없이 축복을 베푸시며 그 축복 행위에 상응토록...
2012.07.02
현대 생태신학자들(7) - 존 캅(John B. Cobb)의 자연신학을 중심으로 과정신학자들의 자연관 이 정 배 / 부설 (사)한국교회환경연구소장, 감신대교수 존 캅은 미국 클레아몬트 대학교 신학부 조직신학교수로서 활동하다가 지금은 은퇴하여 저 술에 몰두하고 있다. 특별히 화이트 헤드의 자연 유기체 철학을 신학에 적용하여 과정신학 (Process theology)이란 이름하에 세계신학계에 미국적 독자성을 확장시켜나갔다. 캅은 자신의 신학이론을 정치, 교회현실등에 접목시켜 소위 신학의 실학화를 위해 헌신한 학자 였던 바, 그의 생애 말기는 생태학적 주제에 대한 과정 신학적 해결을 도모하는 기간이었다 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태학적 주제를 담고 있는 그의 최근의 책으로는 여성신학자 맥훼 이그 등과 공저한 「Liberating Life : Contemporary approaches to ecologi -cal theology, New York, 1990」과 「Sustainability : Economics ecology & Justice, New York, 1992」 등이 있다. 여기서는 그의 과정 사상속에 나타난 자연관만을 개략적으로 살펴 보려 한다. 무엇보다 캅은 유기체 철학자 화이트 헤드를 따라 신학의 범주를 존제가 아니 라 생성으로 보며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 자연신학"을 정초하려고 했다. 생성의 토대하에 서 현실이란 상호 연결된 과정들, 사건들 그리고 경험적 일들로 이루어진 총체적 관계로 이 해되는데, 하느님 역시 이런 관계성을 자신의 필연적 본질요소로 삼고있다는 것이다. 부언하자면 일체의 속성은 그 사물이 맺고 있는 제반 관계성으로부터 파생되어 나오기에 어떤 존재도 관계성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으며 더욱 고양된 생명체일수록 더 많은 다양 한 관계들이 모여 한 전체로서 조화롭게 기능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과정신학의 하 느님은 자연에게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며 진화의 방향이 끌고 나가는세상만물과 더불어 총체적 관계를 맺는 관계로 서술되고 있다. 이처럼 하느님 실재가 자기 자신을 실현해가는 개체들과의 상호관계성을 통해 실현해 가는 한 전 세계, 곧 우주 자연은 신과 모든 피조물 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계속적인 과정으로 설명되어진다. 이점에서 캅은 '창조주' 또는 '창조'라는 말 대신에 생명 및 자연이란 말을 즐겨 사용하는 바, 인간 외적 실체들이 인간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는지 상관없이 그 자체로서 본유적 가치 를 지니고 있다는 탈 인간중심적 견해를 피력한다. 심지어 그는 원자와 같은 미립자들의 무 질서한 운동 안에서도 정신성, 곧 하느님 -원초적 목적(initial aim)이 내재한다고 봄으로써 하느님과 세계라는 전통적 단절방식을 극복해...
201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