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신앙 이야기

일본 오염수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책을 찾아서

작성일
2023-07-07 15:35
조회
478

KakaoTalk_20230629_180651483_20.jpg

일본 오염수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책을 찾아서

 

임준형(기독교환경운동연대 사무국장)

 

<체르노빌 생존 지침서>라는 책이 있다. 책의 저자인 케이트 브라운은 체르노빌 핵사고를 파해치기 위해 핵사고가 일어난 지역 일대를 두루 다니며 자료를 수집하고, 사람들을 인터뷰하며 체르노빌 핵사고를 재구성한다. 핵발전소 폭발사고가 빚어낸 엄청난 방사성 오염과 이후 바람을 타고 이동한 낙진과 비로 인한 오염물질의 이동이 있었다. 그뿐 아니라 핵사고의 여파가 오염물질이 묻은 양털을 따라, 오염된 지역에서 길러진 소의 고기를 이용한 소시지를 따라 이동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핵사고의 오염은 한곳에 머물러있지 않는다. 핵사고 시 방사성 물질은 액체, 기체, 고체 등 다양한 형태로 자연에 방출된다. 멈춰있을 것만 같은 고체 역시 분진의 형태로 곳곳에 흩어져 피해를 만들었다.

방사선 피폭 허용치를 올린 일본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당시 사망자는 1만5천900명이고, 실종된 사람은 2천523명이다. 하지만 이 중 핵사고로 인해 죽은 사람은 없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주장이다. 물론 이를 믿는 사람은 없다. 피난 간 사람들 중 지병이 악화되어 숨진 사람도 3천792명에 이른다고 한다. 단순 질병인지 아니면 방사선 피폭에 의한 죽음인지에 대한 부분은 알 길이 없다. 일본 정부가 나서서 인과를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은 일본 정부는 자국민들의 생명과 안전보다는 적은 비용으로 국가적 재난을 덮고 해결하는 일에만 골몰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을 갖게 만든다.

지금도 여전히 후쿠시마 핵 사고지역 인근은 사람이 살 수 없을 만큼의 방사선량이 측정된다. 오염된 표층의 토양을 걷어냈지만, 비만 오면 산 위의 방사성 물질이 빗물을 타고 다시 토양을 오염시킨다. 일본 정부는 이곳으로 사람들을 복귀시키기 위해 일명 ‘기준치’ 즉 지역 주민의 방사선 피폭 허용치를 올렸다. 실상 얼마나 많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고, 얼마나 강한 방사선을 쐬어야 질병이 발생하는지는 정확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강한 방사선에 노출이 되면 순식간에 심각한 피폭으로 인한 질병이 발생하여 죽음에 이른다는 사실은 모든 학자들이 인정하지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피폭, 특히나 내부피폭(호흡 또는 섭취를 통해 인체 내부에서 발생한 피폭)으로 인한 건강 영향은 여전히 연구주제이니 말이다.

플루토늄, 삼중수소의 위험성

일본이 오염수를 해양 투기하기로 한 것 역시 가장 적은 비용으로 사고를 덮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알프스(ALPS)라고 부르는 오염수 정수처리 시설은 오염수에 있는 모든 핵종을 처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이미 여러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인 서균열 박사는 오염수에 치명적인 핵종인 플루토늄이 남아 있어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문제를 지적했다. 심지어 만약 일본 정부의 주장처럼 대부분의 핵종을 처리할 수 있다 해도 삼중수소는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 제기도 있다. 물과 같이 취급되는 성질로 인해 인체에 들어와서 세포와 결합하거나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 쉽게 말하자면 빠져나가지 않고 몸 안에서 계속 피폭을 일으킬 수 있다는 말이다. 방사성 물질이 발생시키는 방사선 중 전리방사선은 세포 내부의 DNA에 변형이나 파괴를 일으킨다. 조직 괴사나 암 발생 확률을 높인다는 말이다. 그런 사실을 알기 때문에 주한규 원자력연구원장 역시 국회에서 일본이 ‘처리수’라고 주장하는 오염수는 현재상태로 마실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이 방사성 물질의 ‘희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물론 방사성 물질의 단위당 농도는 줄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사실상 투기되는 방사성 물질의 양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물에 섞는다고 해서 방사성 물질이 다른 물질로 변화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바다에 방류되는 물의 양이 늘어날 뿐이다. 그 방사성 물질은 해류를 타고 우리의 바다로, 밥상으로 돌아온다. 해초류와 어패류를 비롯한 바다의 부산물들이 오염물질에 영향을 받거나 오염물질을 축적하고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결과 먹이사슬의 가장 정점에 있는 인간에게 당연히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을 염려하는 것은 전혀 비과학적이지 않고, 이른바 ‘괴담’에 선동당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검증되지 않고, 그리고 검증 책임을 다하지도 않은 일본 정부의 주장이 비과학적이고, 비민주적이다. 그리고 그 주장을 그대로 수용하려는 것 처럼 보이는 한국 정부와 여당 역시 민주정부로서 국민들로부터 위임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오염수 고체화시키거나 큰 탱크에 보관하면 되는 일

일본정부든 한국정부든 결국 이 문제는 함께 사는 세상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인간안보의 문제이고, 세계시민의 기본적 인권과 생명권을 지키는 지구적 민주주의의 문제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게다가 심지어 가능한 대안도 존재한다. 시멘트와 모래를 넣고 고체화시키는 방법이나, 큰 탱크를 지어 오래 보관하는 방법 말이다. 바다가 아닌 육지에 격리시켜 보관할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저비용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마음만 먹지 않는다면 말이다. 우리는 생명을 위해 돈을 쓰고, 안전을 위해 돈을 투자한다는 당연한 사실, 그 관계가 역전될 수 없다는 그 엄연하고 마땅한 사실에 바탕에 두고 이 문제가 정의로운 해결책을 찾아가게 되기를 바란다.

 

서울YWCA 7,8월 회보에 실린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