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환경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유미호, 기독교환경운동연대 기획실장

개신교 환경운동은 1970년대에 크리스챤아카데미나 YMCA가 근대화에 따르는 환경파괴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환경문제가 사회적으로 고개를 들기 시작한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기장여신도회전국연합회 등을 시작으로 교회여성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싹트기 시작했다. 더욱이 1982년에는 비록 사회단체의 형태를 띠기는 하였으나 환경운동을 부문운동이 아닌 전체운동으로서 펼쳐나갈 '한국공해문제연구소'(현 기독교환경운동연대)가 설립되면서 본격화되었다.

물론 기독교신앙을 바탕에 둔 실질적인 개신교 환경운동의 시작은 1990년대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 시기 운동의 특징은  태백, 인천, 광주, 부산 등지에서의 기독환경단체들이 속속 조직되었고 운동의 주체가 되는 기독인과 교회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들 운동의 주체들은 기독교환경운동연대를 중심으로 실시된 '환경통신강좌'와 같은 신앙을 토대로 한 환경교육을 받고 '생명길 좁은문운동' 등의 실천운동에 참여하면서 삶으로서의 환경운동에 힘쓰게 되었다. 또 이 시기에는 교회협 등 에큐메니칼 진영 및 각 교단에서는 환경위원회가 구성되고, '환경주일'을 공동으로 제정하는 등 다양한 연대활동을 시도함으로써 운동을 지교회로 확산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998년 접어들면서 새로운 변화가 시도된다. 지교회들이 '환경위원회'를 두는 등 일회성 또는 홍보용으로 그치는 환경운동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단순한 실천을 뛰어넘어 개인과 교회들의 내면을 천착해 들어가 자기중심성을 탈피하도록 하고 대안적 운동이 전개된다. 한국교회환경연구소를 중심으로 98년 이후 매년 실시되고 있는 '생태적 삶'을 주제로 교육은 환경운동이 단순히 이웃으로서의 자연을 사랑하자고 하는 차원이 아니라 기독교의 구속적 사랑(아가페)과 함께 그 동안 잊혀졌던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에서도 우주의 신비와 하나님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창조의 영성을 회복해가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목표로 삼도록 하였다. 또 1998년 기독환경운동연대가 '녹색교회 21'을 제정하고 그 다음해 19개 지역을 순회하면서 홍보하고 교육한 것은 생태적 삶과 녹색교회를 위한 실천적 노력들을 이끄는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이 시기의 또 다른 특징은 인적 물적 자원은 물론이고 이미 탄탄한 조직을 갖추고 있는 교회는 물론 교단, 지역연대조직들이 환경문제에 공동으로 대처함은 물론 이들의 실천을 하나로 엮는 네트웍이 태동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회의 녹색화를 모색하는 데 큰 힘이 되리라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요약할 수 있는, '개신교 환경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제목으로 쓰여진 이 글은 여러 가지 면에서 보완이 절실하다. 특히 현황에 대한 평가는 추후에라도 이 운동의 주체들 간에 공동으로 논의되어야 할 사항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 글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운동의 주체들이 개인, 지교회, 지역-교회-연합, 교단, 전문환경단체 등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도 기독인들은 신앙적 동기에서든 대응적 동기에서든 여러 가지 통로를 통해 교회, 기독시민단체, 기독환경단체, 사회단체 속으로 파고들어가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다. 어쩌면 그 수나 힘을 가늠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지도 모른다. 다만 분명한 것은 개신교인이 25%에 달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지금의 실천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다. 여기에 운동을 대중화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경운동의 신앙적인 동기를 강하게 부각시키는 것이다. 우선 자기중심성(개교회주의, 성장제일주의)을 탈피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그 동안의 경험과 논의를 모아 신학적, 목회적, 예배적, 선교적, 교육적 차원에서의 생태적 대안을 마련함은 물론 적용가능한 실천 프로그램과 교재 개발을 다양한 각도에서 시도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가능할 때만이 이 땅의 모든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피조물을 존중하고 양육하는 '섬김과 돌봄'의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이글은 요약문입니다. 전체 글은 다운 받아 보십시오  전체파일내려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