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교회의
교회녹화 사례 및 모델 제시 이광우(에코톱 대표) 1. 교회조경이란 하나님께서 태초에 만드신 환경은 만물의 삶에 가장 적합하고 아름다웠지만 인간의 욕심으로 환경문제가 현재 가장 큰 사회문제로 접어들었다. 이제 교회도 환경복원에 눈을 돌려야 할 시점에서 그 방안의 하나로 교회조경이 제시되고 있다. 2. 교회조경의 필요성 가. 환경적 필요성 - 성전을 건축할 때 가장 큰 관심사는 주어진 땅 안에서 최대의 교인을 수용하는 건물을 짓는 것이다. 때문에 도시에 있는 대부분의 교회에는 마당도 정원도 나무도 주차장도 거의 없다. 나무는 하나님이 이 지구에 주신 보물이다. 나무는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다른 피조물에게 삶의 터전, 생존의 터전이 된다. 하나님의 섭리는 모든 인간과 다른 피조물이 함께 사는 것이다. 나. 성서적 필요성 - 하나님의 창조는 모두가 좋은 것 -> 바울 사도의 증언(딤전 4,4) 하나님은 우주 만물의 창조자이며 주인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를 보호하고 관리할 책임과 권리가 있다. 교회가 담장을 헐고, 건폐율을 낮추고 그 공간에 나무를 심어야 한다. 다. 선교적 필요성 - 교회녹화 자체가 이미 선교이다. 개방된 아름다운 조경은 지역주민과 손님을 선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3. 교회조경안 나. 성서식물원 - 성서 속에 등장하는 식물들 중 대상지 환경에 식재 가능한 수종 위주로 식재하여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팻말을 달아 성서와 해당식물의 연관성과 의미를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다. 집회공간 - 교회부지 한편에 넓은 잔디마당을 조성하여 야외설교나 집회시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자연의 신선한 공기와 청정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집회는 더욱 호소력 있을 것이다. 라. 물의공간 - 부지 중앙에 연못을 조성하여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교회부지 입구에서 교회건물로 진입하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물공간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예수가 그 공생애를 보냈던 갈릴리 호수를 의미하거나 인간이 건너야 할 요단강을 의미한다. 교회 건물 진입 전에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마. 휴게공간 - 공해와 오염에 찌들은 교인 및 주민에게 녹색의 쉼터를 제공하여 심리적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교회경계쪽으로는 상록침엽수 위주로 식재하여 외부경관을 차폐시켜 주도록 한다. 휴게공간 내에는 상록활엽수 및 낙엽수를 식재하여 녹음 및 경관 창출을 한다. 바. 산책공간 - 교회를 산책하며 명상과 사색을 돕기 위해 안정감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산책로를 따라 아름다운 경관수와 초화류를 식재한다. 사. 옥상정원 - 교회건물이 삭막하다거나 조경공간이 부족할 때에 공간이 허락한다면 옥상정원을 설계하도록 한다. 좀 더 많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교인의 쉼터가 될 수 있다. 4. 조경사례 가. 국내사례 : 성산교회
가장 바깥쪽으로 커다란
고목을 심어 경관조망 및 차단을 이루었고
나. 국외사례 : 웨어훼어러스 채플
태평양을 향해 돌출된
작은 언덕 위에 자리한 이 교회는 빼어난 경관을 가지고 있다.
5. 성서의 식물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