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소재 단열재로 건강한 집을 짓자

생태주택 길라잡이 (15)
톱밥·폐목가루·폐신문지‥

한참 언론을 통해 ‘새집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소개되면서 일반인에게까지 친숙하게 되었다. 새집으로 이사 간 이후로 원인 모를 두통과 구토를 경험한 사람들도 ‘아, 그것이 새집증후군이었구나’ 싶을 게다. 그 원인은 건물 마감재와 건축자재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독성이다.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건축재료 중 단열재로 쓰이는 것은 화학제품이 대부분이다. 인체에 유해하고 버릴 때 자연으로 쉽게 돌아갈 수 없는 재료들인 것이다. 전에는 건물 전체를 난방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난방을 하다 보니 단열에 많은 노력을 藪岾訣?않았으나 요즘은 대부분 건물 전체를 냉난방하기 위해 단열재를 많이 쓰게 된다.

그러다 보니 더욱 화학재료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과거에는 볏짚이나 수수 등의 자연재료를 건물 구조체에 첨가하여 단열성능을 강화하기도 하였으나 요즘은 이와 같은 자연소재를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보다 훨씬 앞서 이런 경험을 한 외국에서는 건강한 건축재료와 건축방법에 관심이 높다. 시장에 유통되는 건축재료에도 자연소재가 많아 선택의 폭도 넓다. 자연소재라면 일반적으로 섬유질의 공극이 많은 재료로서, 톱밥이나 폐목을 분쇄하여 판넬 형태로 만든 것이나 녹여서 분사할 수 있게 한 섬유단열재가 많이 쓰인다.

이런 판넬은 단열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재료자체가 숨을 쉬고 또한 버릴 때 쉽게 고 분해되는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이때 부식이나 습기를 막기 위하여 타르를 칠하는 것은 실내에 유해물질을 방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대신 목재 자체에서 추출한 수지비누나 왁스를 입혀 부식을 막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목재 섬유질을 접착하는 재료로 화학본드를 많이 쓰고 있으나 여기에도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또 하나 목재와 유사하게 쓰이는 재료가 폐 신문지인데, 이를 분쇄하여 제작한 판넬 형태나 반죽 상태로 분사하는 셀루로즈 제품이 있다. 화재나 벌레에 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붕사를 섞어 수증기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제품은 접착제나 용제를 쓰지 않기 때문에 건강에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 제품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생산과정에 에너지 소모가 많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통기·방풍성도 있다. 방음효과 또한 뛰어나서 주로 벽면이나 천정 단열재료 많이 쓰인다. 나중에 퇴비로 만들거나 태울 수도 있다. 그밖에 지역적 특성에 따라 아마 줄기나 코르크 등을 이용한 판넬 등은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단열재로서 성능이 우수하고 유해한 성분을 방출하지 않으므로 건강한 집을 지을 때 적합한 재료이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참으로 편리해진 것이 많다. 대량으로 물건들을 만들어내면서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것도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잃어버리는 것이 너무 많다. 자연은 생명체에게 건강한 삶을 제공하려는 준비가 되어있으므로 우리가 그것을 받아들일 때 인간과 생태계가 건강하게 공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태구/세명대 건축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