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행동으로 밥
한그릇의 소중함과 밥상 차리기 요즘 우리들의 살림이 예전보다 넉넉해지면서 밥 한 그릇을 가벼이 여기는 이들이 많다. 가정과 식당에서 내버리는 음식물쓰레기로 낭비되는 금액은 하루 404억원, 한 해 동안 총 15조원에 이르는 음식물이 쓰레기통으로 들어가고 있다. 우리가 먹는 식량의 70%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지금도 굶는 아이들이 전국적으로 16만명에 이르는 실정을 감안하면 음식을 경시하는 태도가 지나치다. 밥 한 그릇의 소중함을 모른 채 음식물을 남겨 버리는 행위는 하나님과 자연 앞에서 저지르는 죄 중의 하나이다. '사는 동안 남긴 음식이 죽은 후 천국 문 앞에 다 쌓여져 있어서 그것을 다 먹기 전에서는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우리가 먹는 밥 한 그릇에는 흙, 햇빛, 비는 물론이거니와 바람, 벌레, 천둥, 눈과 서리, 구름, 그리고 농부의 땀방울, 하나님의 은혜가 담겨 있다. 그것을 헤아리지 못하고 정성스럽게 받지 않거나 음식을 버린다면,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하는 주기도는 더 이상 드려 무엇하랴. 밥 한 그릇의 의미를
아는 자는 하나님을 안다. 모든 생명있는 것들은
다른 생명체를 먹음으로써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밥 먹는 식탁은
하늘제사 드리는 제단, 한 마리 생선과 육류
고기 한 점은 (김경재, '그리스도인의 영성훈련' 중에서)
천천히 씹어서/ 공손히
삼켜라/ 봄부터 여름 지나 가을까지/ (이현주, '밥먹는 자식에게') 생명을 위한 밥상을 위한 제안 우리의 피와 살, 영혼을 소생케 하는 식사는 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우리의 밥상은 천지의 은혜와 세상의 정성이 담긴 것들로 채워지고 있는가? 유전자조작식품, 환경호르몬, 식품첨가물, 농약으로 자란 농작물 등으로 가득 차 있지는 않은가? 건강한 먹거리로 손수 차린 밥상을 대할 때, 우리는 다시 음식을 소중히 여기고 더불어 먹을 줄 아는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님께서는 다섯 덩이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일지언정 축사하신 후 오천 명을 배부르게 먹이고나서 "남은 음식을 조금도 버리지 말고 다 모아들여라" 하고 말씀하셨다. 우리들도 다음 수칙들을 지킴으로 예수님의 기적을 우리의 밥상에서 작은 기적으로 되살려 보자. 1. 식단을 짜서 필요한
만큼 구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