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4일 제 39회 환경주일 연합예배가 열린 청파감리교회에서 2022년 올해의 녹색교회 시상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올해의 녹색교회로 선정되어 시상한 녹색교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천교회(과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주현신 목사) 광림교회(청주, 한국기독교장로회, 정대위 목사) 광주다일교회(광주,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김의신 목사) 나우리교회(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염동철 목사) 덕신교회(순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최광선 목사) 사남교회(사천, 기독교대한감리회, 이현우 목사) 산성교회(고양, 기독교대한감리회, 윤원영 목사) 새빛교회(창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조신제 목사) 샘터교회(부산, 기독교대한감리회, 안중덕 목사) 성도교회(창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박희광 목사) 세신교회(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김종구 목사) 소마교회(괴산,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임기도 목사) 월곡교회(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최복규 목사) 제주남부교회(제주, 한국기독교장로회, 이성진 목사) 올해의 녹색교회로 선정된 모든 교회에 감사와 축하를 드립니다.
2022.06.03
기독교환경운동연대와 한국기독교회협의회 생명문화위원회가 공동으로 선정하는 2022년 올해의 녹색교회가 다음과 같이 선정되었습니다. 과천교회(과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주현신 목사) 광림교회(청주, 한국기독교장로회, 정대위 목사) 광주다일교회(광주,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김의신 목사) 나우리교회(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염동철 목사) 덕신교회(순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최광선 목사) 사남교회(사천, 기독교대한감리회, 이현우 목사) 산성교회(고양, 기독교대한감리회, 윤원영 목사) 새빛교회(창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조신제 목사) 샘터교회(부산, 기독교대한감리회, 안중덕 목사) 성도교회(창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박희광 목사) 세신교회(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김종구 목사) 소마교회(괴산,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임기도 목사) 월곡교회(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최복규 목사) 제주남부교회(제주, 한국기독교장로회, 이성진 목사) 올해의 녹색교회로 선정된 모든 교회에 축하를 드립니다. 올해의 녹색교회 시상식은 제 39회 환경주일 연합예배가 열리는 2022년 5월 24일 오후 3시 청파감리교회에서 진행됩니다.
2022.05.20
기독교환경운동연대와 녹색교회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2022 사순절 공동행동>을 시작합니다. 재의 수요일이 시작되는 3월 첫주부터 부활절 전까지 7주간, 지구 생태계를 기억하며 기도하고, 할 수 있는 실천을 제안합니다. 뜻있는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자료는 자유롭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7주간, 하나의 주제, 하나의 기도, 2-3종류의 실천에 함께 해 주세요.! (매주 목요일 다음주를 위한 웹자보를 페이스북과 홈페이지에 올려 드리겠습니다.) 1주 (3.2~3.5) * 덜어내는 훈련을 합시다. <기도> 너무 많이 가지려고만 했던 우리의 욕심이 지구 생태계를 고통 속으로 몰아갔습니다. 주님, 당신 자신을 비우심으로 생명을 살리신 예수님의 십자가의 지혜를 우리가 배우게 하옵소서. <실천> - 냉장고의 오래된 음식물들을 정리합시다. 냉장고는 냉기가 잘 순환할 수 있도록 60%만 채웁시다. - 각종 메일이나 영상을 보관하는 데이터 서버를 유지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많은 전력이 소모되고 있습니다. 이메일함의 오래된 메일이나 영상을 지웁시다. 2주 (3.6~3.12) *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살아가는 창조세계를 묵상합시다. <기도> 주님, 주께서 지으신 세계는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살아가는 공간입니다. 모든 생명이 어우러진 세상을 보시고 아름답다고 감탄하신 당신의 기쁨을 우리도 누리게 하옵소서. <실천> - 교회나 직장의 빈 공간에 텃밭 농사를 준비합시다. - 반려 동물, 반려 식물을 돌봅시다. 3주 (3.13~3.19) * 모두에게 건강한 식단을 마련합시다. <기도> 주님, 우리의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해 땅과 하늘과 바다가 황폐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를 살리시는 생명의 떡이신 주님을 닮아, 우리 생명도 다른 생명을 살리는 일에 귀하게 사용되게 하옵소서. <실천> - 우리의 먹거리를 위해 배출되는 탄소의 양을 생각하며 우리 식단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방법을 연구해 봅시다. - 지역의 농업을 살리고 탄소배출도 줄일 수 있는 지역 농산물로 식단을 차려봅시다. - 적당한 양의 음식을 준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입시다. - 일주일에 하루는 육류를 섭취하지 않고 온전한 채식을 실천해 봅시다. 4주 (3.20~3.26) * 가진 것으로 이미 충분합니다. <기도> 주님, 더 소유하려고 하는 욕심 때문에 다음 세대가 살아갈 세상을 망가뜨리는 우리를 용서해 주옵소서. 베푸신 은혜에 감사하며, 이미 가진 것으로 충분히 만족하게 하옵소서. <실천> - 옷장을 비우면 가진 것이 더 소중해집니다. 더 이상 입지 않는 옷을 이웃과 나누고, 가진 옷을 소중히 합시다. - 물건을 살 때는...
2022.02.25